osteotome technique vs lateral window approach
상태바
osteotome technique vs lateral window approach
  • 승인 2006.02.20 15: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악 구치부 잔존골이 불량한 경우의 임플란트 수복하기 (1)
osteotome technique vs lateral window approach

2-3mm 잔존된 골을 가진 상악 구치부 결손에서 osteotome를 사용하여 수복한 case와  비슷한 조건에서 lateral window approach를 비교하여 장단점 및 complication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정 문 환 (달라스치과 원장) / periodoc@hanmail.net

대부분의 상악 구치부의 결손을 갖는 환자에서 maxillary sinus의 pneumatization과 posterior alveolar ridge의 결손은 술자를 매우 당혹스럽게 한다.
Maxillary sinus는 네개의 paranasal sinuses 중 가장 크며 pyramid shape을 가지며 약 35mmd의 height와 25mm width와 전후로 30mm 길이를 갖는다. 특히 ostium를 통하여 drainage하고 있다.
이런 상악 구치부 결손 환자에서 maxillary antral floor에 bone graft를 통하여 alveolar height의 증가를 가져오면 적절한 골의 량과 질이 제공돼 implant 식립뿐 아니라 보철적 수복도 가능케 한다.
이 bone graft technique에는 lateral window approach와 ostetome를 통한 approach가 있다.
Dr. O.Hilt Tatum이 1977년 sinus augmentation technique을  도입한 이래 점진적 발전을 해오며 1992년 Smiler 등에 의하여 lateral window approach가 정립됐으며, 1994년 philadelphia의 Summers에 의하여 도입된 osteotome이라는 특수한 instrument<그림 1>를 통하여 lateral window를 열지 않고 crestal를 통해 bone powder를 더하여 schniderian membrane를 위로 올리는 개념이 정립됐다. 단, 이때 최소한 5~6mm의 bone height이 남아있는 경우에 한하며  immediately하게 implant 식립을 가능케 했다. 이를 modified osteotome augmentation technique(MOAT)또는 bone added osteotome sinus floor elevation(BAOSFE)라 부르고 있다<그림 2>.
새 천년이 시작 된 이후 crestal osteotome technique를 쓸 경우 Reiser 등의 cadaver연구에 의하면 2mm 이하의 membrane 천공은 dome shape를 파괴하지 않아 매우 좋은 예후를 가지며 8mm의 elevation도 가능하다고 했다. 뉴욕의Odrich 등은 localized management of the sinus floor(LMSF)라는 유사한 술식을 통하여 8~9mm membrane를 거상시키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예후에서 더 많은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필자는 2~3mm 잔존된 골을 가진 상악 구치부 결손에서 osteotome를 사용하여 수복한 case와  비슷한 조건에서 lateral window approach(다음호에 연재)를 비교하여 장단점 및complication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위 환자는 55세된 남자로 ASA I로 분류되며 상악 우측 제1,2 대구치가 발치 된 지 수 년이 지났으며<그림 3> 타 치과에서 의뢰됐다.
진단검사를 위하여 panorama<그림 4> 결과 moderate-severe chronic adult periodontitis로 진단되었다. 모든 치료 양식이 설명됐으며 환자의 선택에 의하여 implant 3개를 매식하여 상악 우측 구치부를 수복하기로 했다.
MOAT를 통하여 제1,2 대구치부위에 3.8×10mm tapered H.A coating 된 2 stage implant가 식립됐으며 bone graft material은 dry type의 mineralized allogenic graft를 사용했고, <그림 5><그림 6>은 8mm 정도의 membrane elevation에도 dome shape이 잘 형성되어있으며 최후방 부위는 future site development 로 Dr. Fugazzotto 술식<그림 7>을  이용했으나, 환자분의 경제력에 의하여 그 부위는 차후로 식립이 미루어졌다.
<그림 8>은 6개월후 2차 수술로 healing abutment가 장착된 사진이며 <그림 9>는 impression시 사진이며 <그림 10>, <그림 11>은 30N torque를 가하여 abutment connection 및 cement type 보철물이 장착된 사진이다. 하악 우측 제3대구치 발치와 치주처치 및 그외 처치는 의뢰되었던 병원에서 치료 받기로 했다.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