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임상] Self-ligation(자가결찰) 시스템을 이용한 발치 교정의 초기배열 (2)
상태바
[교정임상] Self-ligation(자가결찰) 시스템을 이용한 발치 교정의 초기배열 (2)
  • 백만석 원장
  • 승인 2021.09.03 14: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만석 원장의 교정임상

 

이전 연재에서는 전치부 crowding 환자에서 Damon(데이몬)이라는 self-ligation bracket(자가결찰 브라켓)을 이용해 full bracket bonding으로 초기배열을 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았다. Self-ligation mechanic(자가결찰 메카닉)을 적절히 이용한다면 crowding 상황에서도 full bracket bonding을 통해 초기배열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임상이 그렇듯 환자의 상태는 다양한데 천편일률적으로 똑같은 방법을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여러 가지 부작용들이 생길 수 있다. 이번 연재에서는 자가결찰 브라켓을 이용한 full bracket bonding을 변형해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백만석 연세플란트치과 원장
백만석 연세플란트치과 원장

본 환자는 12세 여성 환자로 상악 양측 송곳니가 높이 솟아 있고, 위치가 전위돼 있다는 주소로 내원했다.

그림 1. 환자 초진 구외사진 및 구내사진
그림 1. 환자 초진 구외사진 및 구내사진
그림 2. Initial Panora & Cephalo
그림 2. Initial Panora & Cephalo

환자는 영구치열기 초기 환자로 상악 견치의 ectopic eruption으로 인해 측절치의 순측으로 맹출돼 심한 high canine 상태를 보였다. 이로 인해 상악 유견치는 흡수되지 못하고 잔존해 있는 상태였다(그림 1, 2).

아직 전체교정을 시작할 시기가 되지 않은 상태여서 유견치를 발치하고 견치를 제 위치시키는 것에 목표를 두고 1차 교정을 시작하기로 했다. 1차 교정 이후에 영구치 맹출이 완료되면 재진단을 해 2차 교정치료 계획을 수립해 진행하기로 했다.

환자는 데이몬 메탈 브라켓을 이용해 full bonding을 했다. 일반적인 데이몬 브라켓 사용법에 의하면 데이몬 브라켓은 자가결찰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처음부터 모든 치아에 브라켓을 붙이고 모든 브라켓 슬롯에 wire를 full engage하는 것을 기본 메카닉으로 설명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 환자처럼 측절치와 견치간 배열이 심하게 좋지 않은 경우, 무리해서 wire full engage를 하는 것은 환자에게 심한 통증을 안겨줄 뿐만 아니라, 생역학적으로도 부작용을 만들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bracket full bonding을 하더라도, initial wire를 응용해서 engage함으로써 self-ligation mechanic을 이용하면서도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다(그림 3).

그림 3. 치료 2주 경과 후. 데이몬 브라켓 본딩 및 Pig-tail ligation을 이용한 측절치 wire engage
그림 3. 치료 2주 경과 후. 데이몬 브라켓 본딩 및 Pig-tail ligation을 이용한 측절치 wire engage

그림 3에서 보듯 상악 양측 측절치에서 wire를 bracket slot에 engage하지 않고, ligature wire(.010 inch)를 extention해 wire를 걸어줬다(연자는 이것을 Pig-tail ligation이라고 명명함). 이렇게 함으로써 측절치와 견치간 wire의 심한 휘어짐을 피할 수 있다.

자가결찰 시스템을 이용해 영구치와 견치가 유견치 발치공간으로 이동해 배열이 좋아지면 pig-tail ligation을 변경해 적용하거나 bracket slot 내에 직접 engage해 준다(그림 4).

그림 4. 치료 2.5개월 경과 후. #23 bracket slot에 wire engage
그림 4. 치료 2.5개월 경과 후. #23 bracket slot에 wire engage

치료경과 5.5개월 후 특별한 부작용 없이 occlusal plane이 잘 유지되며 상악치열이 잘 배열됐다. 다소 이른감이 있으나 재진단을 시행해 비발치로 2차 교정치료를 진행하기로 했고,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상악의 후방이동을 통해 교합을 개선하기로 했다(그림 5).

그림 5. 치료 5.5개월 경과 후. 재진단 후 비발치 전체교정 진행
그림 5. 치료 5.5개월 경과 후. 재진단 후 비발치 전체교정 진행

치료 중간에 환자가 장기간 내원하지 않고 마무리를 원해 교합이 원하는 상태로 마무리되지는 않았으나 debonding을 시행했다(그림 6).

그림 6. 치료 26개월 경과 후. Debond 시 구내 및 구외 모습
그림 6. 치료 26개월 경과 후. Debond 시 구내 및 구외 모습
그림 7. Final Panorama and Cephalo
그림 7. Final Panorama and Cephalo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