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임상] 하이브리드 치료에서 안모의 변화 (1)
상태바
[교정임상] 하이브리드 치료에서 안모의 변화 (1)
  • 박서정 원장
  • 승인 2021.10.08 18: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 산업분야에 걸쳐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치과영역 역시 디지털에 기반한 새로운 임상 패러다임이 대거 형성됐다. 특히, 교정 분야에서의 디지털화는 더욱 빨라져,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술식들이 등장하며 격변의 새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본지는 디지털 교정의 다양한 경험으로 Global Speaker 및 KOL로 활발하게 활동 중인 박서정 원장님의 증례를 바탕으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교정 패러다임을 소개해보기로 한다. 
 


고정성 브라켓으로 치료를 한 다음 조기 디본딩을 하고 디지털 투명교정으로 치료를 마무리하는 하이브리드 치료 증례들을 공유하다 보면 국내는 물론 해외 선생님들로부터 굳이 그렇게 하는 이유와 필요성, 장점 등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들을 많이 받곤 한다. 그에 대한 내 답변 중의 하나는 바로 “빠른 안모 개선”이다.

통상적으로 브라켓을 본딩해 치료를 하는 경우 디본딩을 하고 충분한 시간이 경과해야 입술을 비롯한 연조직의 Tightening에 따른 안모의 개선은 서서히 일어난다. 그런데 브라켓으로 치료를 한 환자를 조기 디본딩한 다음 투명교정으로 마무리를 할 경우 안모의 개선이 빠른 속도로 이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깜찍한 16세 소녀는 돌출입과 덧니를 교정하고자 하였다(Fig.1). 

Fig.1 Initial Facial Photo (Feb. 25, 2019)
Fig.1 Initial Facial Photo (Feb. 25, 2019)


과도한 overjet과 overbite, 중등도의 상·하악 총생, 좁은 악궁, 2급 견치와 구치 관계, 미맹출된 #17 등을 구강 내에서 볼 수 있다(Fig.2).

Fig.2 Initial Intraoral Photo (Feb. 25, 2019)
Fig.2 Initial Intraoral Photo (Feb. 25, 2019)

 

환자의 2D 데이터와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업로드해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 IDB 트레이 디자인을 하기 위한 디지털 진단 모델을 주문 제작했다(Fig.3).

Fig.3 Initial Digital Diagnostic Model (Feb. 28, 2019)
Fig.3 Initial Digital Diagnostic Model (Feb. 28, 2019)

 

상·하악 제1 소구치를 발치하는 치료 계획에 맞춰 이 진단 모델상에 이미 설정된 FA 포인트를 기준으로 해 자동으로 디지털 본딩을 했고, 이 브라켓의 위치에 따른 치아 이동 상태를 자동으로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검토하면서 디지털 모델 상에서 필요에 따라 브라켓 위치를 꼼꼼히 수정했다(Fig.4).

Fig.4 IDB Simulation (Mar. 15, 2019)Upper : Initial Model, Lower : Simulation Model 
Fig.4 IDB Simulation (Mar. 15, 2019)Upper : Initial Model, Lower : Simulation Model 


이 디지털 브라케팅에 맞춰 IDB를 하기 위해 상악은 하나의 트레이로, 하악은 3개의 분리된 트레이로 디자인을 했다(Fig.5).

Fig.5 IDB Tray Design (Mar. 15, 2019)Upper : Upper Tray, Lower : Lower Segmented Trays
Fig.5 IDB Tray Design (Mar. 15, 2019)Upper : Upper Tray, Lower : Lower Segmented Trays

 

이 트레이 디자인을 stl 파일로 내보낸 뒤 본원에서 직접 3차원 프린팅을 한 IDB 트레이를 이용해 상·하악 브라케팅을 완료했다(Fig.6).

Fig.6 Bracketing with IDB Trays (Mar. 15, 2019)
Fig.6 Bracketing with IDB Trays (Mar. 15, 2019)

 

통법에 의해 치료를 진행해 약 17개월이 경과했을 때 안모를 보면 돌출이 많이 해소되기는 했지만 프로필 사진에서는 아직 S 커브는 형성되지 않았고 Lip Line도 어색했다(Fig.7). 

Fig.7 Progressive Facial Photo Just Before Early Debonding (Aug. 6, 2020)
Fig.7 Progressive Facial Photo Just Before Early Debonding (Aug. 6, 2020)


같은 날 바로 디본딩을 했다(Fig.8). IDB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하악 전치부의 수직적 차이도 있고, 발치와 공간도 여전히 남아 있었으며 교정치료 도중 협측으로 Ectopic eruption한 #17 소구치부위 개교합 등의 문제가 있었다(Fig.8). 

Fig.8 Progressive Intraoral Photo Just After Debonding (Aug. 6, 2020)
Fig.8 Progressive Intraoral Photo Just After Debonding (Aug. 6, 2020)


투명교정 장치 디자인과 제작을 위해 2번째 디지털 진단 모델을 주문, 제작했다(Fig.9).

Fig.9 Digital Diagnostic Model for Aligner Design Just After Debonding (Aug. 6, 2020)
Fig.9 Digital Diagnostic Model for Aligner Design Just After Debonding (Aug. 6, 2020)

 

<다음 호에서 이어집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