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amic Bracket
상태바
Ceramic Bracket
  • 승인 2006.10.11 15: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eramic Bracket
(세라믹 브라켓)

 

성공적인 사회생활을 위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좋은 인상을 심어주는 단정한 용모는 필수가 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지런한 치아로 좋은 인상을 얻기 위해 교정치료를 하려는 환자들의 수는 매우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중에서도 높은 심미성으로 술자와 환자 모두에게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세라믹 브라켓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김태용 기자 kimty@denfoline.co.kr

 

성형수술과 각종 다이어트의 열풍 그리고 얼짱 신드롬까지. 우리나라는 유독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많은 듯 하다. 이러한 관심은 간혹 ‘외모지상주의’라 호칭되며 비판 받고 있지만 아름다워지고 싶은 것은 인간의 당연한 욕구가 아닐까? 인간의 아름다워지고자 하는 욕구는 치아 교정치료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교정치료를 통해 큰 만족을 얻고 있다.
그러나 금속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치료는 그 목적이 심미성에 있으면서도 치료기간 동안은 심미성이 떨어지는 모순을 안고 있다. 이것에 대한 해안으로 심미성을 강조한 레진이나 세라믹을 바탕으로한 브라켓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투명교정 혹은 설측 교정 등의 치료법이 시행 되고 있지만 제한된 경우에서 사용되기에 좀 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는 세라믹 브라켓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였다.

1. 심미치과학과 교정치료
고르지 못한 치아의 배열은 심미적인 문제뿐 아니라 그 기능에 있어서도 문제를 유발한다. 그러나 그 정도가 매우 심하지 않은 경우, 교정치료의 목적은 기능의 회복 보다는 심미적 요소에 더 무게가 실려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나날이 커져가는 환자들의 심미적 요구는 ‘심미치과학’의 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심미치과학은 과거 치과치료가 기능의 회복에 주안점을 둔 것에 비해 환자들의 심미적 욕구까지 충족시키는 것을 근간으로 하는 분야이다. 이 심미치과학은 단순 기능회복적인 치과치료의 테크닉뿐만 아니라 색상, 디자인, 사진술 그리고 심리학까지 아우르고 있는데 아직 이 분야에 대해 완벽한 학문적 정립은 이루어 지지 않은 편이다. 치아교정, 악교정, 임플란트, 교합, 보철 그리고 미백 치료 이외에, 모든 일상적인 치료의 경우에도 술자와 환자 모두 심미적인 것을 고려한다면 어쩌면 이것이 바로 심미치과학적인 활동인 것이다.

심미치과학의 범주에 심리학적인 요소까지 감안 되는 것은, 치아가 인간의 심미적 욕구에서 적지 않은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고르지 못한 치아는 밝은 미소를 만들어 내지 못하며 자신감 없는 내성적인 성격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성격은 대인관계에까지 큰 영향을 미쳐, 개인이 보다 나은 사회생활을 하는 것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2. 교정장치의 역사와 종류
교정장치는 크게 가철식 장치와 고정식 장치로 나눌 수 있다. 이중 가철식 장치는 다시 ‘active plate’ 장치와 ‘악기능 장치’로 분류된다. 가철식 장치는 주로 유럽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주로 총생을 해소하기 위한 악궁 확대를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경질고무와 귀금속 등으로 제작되었으나 2차세계대전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이 사용되며 큰 발전을 이루게 된다. 가철식 장치의 장점은 말 그대로 가철이라는 점이다. 이는 환자가 말을 하거나 음식을 섭취할 경우 불편감이 적다는 것과 기공소에서 제작되어 오기에 진료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또한 고정식 장치에 비해 성장기에 있는 환자에게 적절히 적용 가능하여 꾸준히 쓰이고 있다. 단점으로는 장치를 장착 · 탈착 시의 교정치료 결과가 영향을 받으며 실질적으로 치근 이동 등의 복잡한 교정이 어려운 점 등이다.

‘고정식장치’를 활용한 교정치료는 브라켓 시스템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1928년 Dr. Angle이 에지와이즈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후 모든 ‘에지와이즈 브라켓 시스템’의 기반이 된다. 또한 ‘Begg장치’가 있는데. 이는 1920년대 Dr. P.R Begg이 Angle이 발명한 리본아치 장치를 개조한 것이다. 이후 이 두가지 방식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장치법의 성공적인 정착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연구 중에도 Dr. Lawrence Andrew의 연구는 큰 정상교합을 위한 6개의 핵심사항을 발표하게 된다. <표. 1 참고> 이후 에지와이즈와 Begg 슬롯을 조화시킨 브라켓의 사용도 이루어지고 있다.

1. 구치부 관계
2. 치관경사
3. 치관토크
4. 회전이 없어야 함.
5. 공간이 없어야 함.
6. 교합 평면이 편평해야 함.

Andrews LF : Am J Orthod 63:296-306. 1972.
<표. 1> 정상교합을 위한 6개의 핵심사항

-설측교정법-
브라켓의 사용으로 대변되는 현대 고정식장치의 분류상 설측교정법 역시 브라켓을 사용하기에 함께 정리하는 것이 옳겠으나, 이 교정법은 그 장점을 모두 활용하기에는 제한적인활용이 되어야 한다는 특성상 따로 분류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설측교정법을 이용하여 교정치료를 하는 것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매우 뛰어난 심미성이다. 눈에 보이지 않기에 이러한 심미성을 제공해 주는데 바로 이점이 악용되어, 설측 교정법이 “최고의 교정치료법 중의 하나” 라는 잘못된 상식을 가지고 있는 일반인들도 많다. 하지만 설측 교정은 긴 chair time과 설측 장착으로 인한 이물감과 경우에 따른 발음 장애와 높은 비용청구, 그리고 치아의 치관이 짧거나 굴곡이 비정상적인 경우 활용이 어렵다는 제한점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적절한 경우에 적용될 경우에는 환자에게  높은 만족감을 주는 교정법이다.

3. 브라켓의 종류

(1)금속 브라켓
보통의 경우 금속 브라켓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어진다. 최근에는 티타늄으로 제작된 브라켓도 이용되어 지고 있지만 이는 기존의 금속 브라켓에서 니켈 과민성을 경험하는 소수의 환자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금속 브라켓의 경우 세라믹 브라켓의 경우보다 브라켓 슬롯(slot)과 와이어 사이의 마찰 저항력이 적어 효율성이 높다. 그러나 이 금속 브라켓의 경우 금속의 색이 눈에 잘 띄는 특성으로 심미성이 크게 저하되어 성인교정치료의 경우 적합하지 않은 면이 있다. 이에 여러 제조업자들은 브라켓의 크기를 줄이고 형태를 변환시켜 눈에 잘 띄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다른 금속 브라켓으로는 금색을 내기 위해 zir-conianitride를 입힌 스테인리스 스틸 브라켓이 있다. 또한 금속 브라켓에 영구적으로 표현 가능한 치아색을 부가하는 심미적 스틸 브라켓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 지고 있다.

(2)플라스틱 브라켓
초기 플라스틱 브라켓은 ‘polycarbonate'와 'plastic molding powder'(Plexiglas)로 제작되었는데 'Plexiglas' 브라켓은 변색과 파절성, 응력에서의 파손으로 수명이 길지 않고 호선 슬롯의 정확성이 떨어져 치아에 교정력이 잘 전달되지 않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단점에 대한 개선으로는 스테인리스 스틸 슬롯을 삽입하거나 세라믹 충전재를 포함 하는 등의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금속 슬롯 없이 세라믹으로 강화된 플라스틱 브라켓은 세라믹이나 금속 브라켓에 비해 매우 낮은 마찰 특성을 보인다.

(3)세라믹 브라켓
브라켓 사용의 심미적 대안으로 사용하게 된 플라스틱 브라켓. 세라믹 브라켓은 이 플라스틱 브라켓보다 더 나은 심미적 우월성을 보인다. 세라믹 브라켓은 알루미늄 옥사이드로 구성되어 플라스틱 브라켓의 심미성과 금속 브라켓의 견고성의 장점을 지니며, 성인교정 환자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확고한 결합력으로 정확한 치아이동을 가능케 하는 것이 장점이다.

세라믹 브라켓의 종류는 그 원료의 차이에 따라 다결정 알루미나 브라켓 (Polycrystaline alumina bracket)과 단결정 알루미나 브라켓(Monocrystaline alumina bracket) 등으로 구분된다. 이 두 종류의 차이는 파절과 균열에 대해 각기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단결정 알루미나는 다결정 알루미나에 비해 균열이 발생하기 어렵지만, 일단 균열이 발생하면 균열 전파에 대한 장애물이 없어서 오히려 다결정 알루미나보다 쉽게 파절된다. 다시 말해 초기 파절이 시작되면 단결정 알루미나는 결정입계를 따라 불규칙 경로로 균열이 발생하는 다결정 알루미나보다 더 낮은 저항성을 지닌다.
또한 슬롯과 와이어 간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슬롯에 대한 처리법을 기준으로 금속슬롯, 실리카 라이너, 세라믹슬롯 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앞으로도 더 많은 기술 발전을 통해 여러 가지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구분은 명확한 것이라기 보다는 편의에 의한 구분이라 할 수 있다.

제품분류 참고 : ’세라믹 브라켓의 특성과 전망’ 유형석 덴포라인 2006. 63호
‘세라믹 브라켓의 종류 및 브라켓 슬롯과 와이어 각도에 따른 마찰 저항 차이’ 최윤정·박영철 대치교정지 2006. 36호

(4)브라켓 종류에 따른 장·단점
우선 이번 기획기사에서 세라믹 브라켓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인 심미성을 생각해 보면 금속브라켓은 낮은 심미성을, 플라스틱 브라켓과 세라믹 브라켓은 높은 심미성을 나타낸다. 그중에서도 세라믹 브라켓은 이 세종류의 브라켓 중 가장 높은 편의 심미성을 보여준다. 슬롯과 와이어 사이의 마찰저항을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금속 브라켓이 가장 낮아 효율적인 교정치료를 가능케 해준다. 어느 술식이든 장·단점과 적용 가능한 범위의 차이는 존재하기 마련이니 술자의 적절한 선택이 필요하다.

4. 세라믹 브라켓에 대한 고찰

(1)파절성
세라믹은 외부에서 하중을 받게 되면 표면 결합, 내부기포, 이차상, 불순물 및 과대 성장 입자와 같은 흠집 주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부분적인 응력이 재료의 강도를 초과하면 균열이 발생하고 전파되어 파절된다.
세라믹 브라켓은 브라켓에 균열이 생기는 경우 유리와 같이 깨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일단 균열이 발생하면 균열 전파에 대한 장애물이 없어 쉽게 파절되기 때문이다. 세라믹 브라켓의 파절가능성은 강도보다는 파괴 인성에 따라서 좌우된다. 이러한 세라믹 브라켓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금속 브라켓 보다 크게 제작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저작 시에 교합에 의한 파절이 일어나거나 대합치에 마무를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하악 소구치 부위는 기존의 금속 브라켓으로 부착할 필요가 있다.

(2)마찰저항
세라믹 브라켓의 마찰저항은 높은 편이다. 브라켓 슬롯과 와이어 사이의 마찰저항은 낮을 수록 좋은데 세라믹의 물적 특성은 그렇지 못한 것이다. 이러한 세라믹 브라켓의 높은 마찰력은 치아 이동을 방해하여 치료의 효율성을 떨어트린다. 따라서 치아이동을 위한 최적의 힘을 얻기 위해서는 브라켓 슬롯과 와이어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 해야 한다. (세라믹 브라켓의 마찰력은 교정시 가해지는 힘의 12%~60%까지 상쇄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브라켓의 마찰저항은 그 정도가 낮은 순으로 금속 브라켓 - 세라믹 브라켓 - 플라스틱 브라켓 순으로 세라믹 브라켓은 마찰력이 높은 편이다. 높은 심미성을 갖고 있는 세라믹 브라켓 이지만 이러한 단점은 술자와 환자 모두를 위해 앞으로도 반드시 개선되어야 하며, 실제로 여러 제조회사들의 노력으로 개선되고 있는 중이라 할 수 있겠다.

현재 제시되고 있는 개선방안으로는 슬롯의 대한 것이다. 전체 구조에서 슬롯을 금속으로 제작하거나 실리카등의 재료로 제작하는 방법 등을 통해 마찰력을 낮추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적잖은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그 정도가 완벽한 수준은(모든 세라믹 제품) 아니며 슬롯을 금속으로 대체하는 문제 역시, 세라믹 브라켓의 가장 큰 장점인 심미성을 다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에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3)치아의 손상
세라믹 브라켓은 다른 브라켓에 비해 다소 큰 크기이며 내구성이 세서 치아와 대합 될 경우 치아를 마모시키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또한 장치 제거시 enamel이 같이 손상 또는 파절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 역시 많은 연구 개발을 통해 개선 되고 있는 상황이다. 돌출된 구조물의 수를 감소시켜 기계적인 유지력을 감소시키거나 접착제와 브라켓 사이의 유착을 감소 시키기 위해 실란 코팅을 제거하는 등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세라믹 브라켓의 제거(디본딩)를 쉽게 하기 위한 디자인이나 전용 기구 등이 개발 되고 있다.
그러므로 술자는 본인이 선택한 업체의 제품이 갖는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임상에 적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5. 국내에 시판중인 제품 특징(업체명 가나다순)

국내에 세라믹 브라켓을 판매하고 있는 업체는 10여개 정도이다. 대부분의 경우 수입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에이치티’와 ‘휴비트’등 몇 개 국내업체에서 제품개발과 판매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제품의 품질수준이 크게 향상되어 단순하게 수입 제품이냐 국산 제품이냐를 가지고는 제품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없을 것이다.
국내유통중인 15개 안팎의 제품들을 선택하는 것은 꽤나 고민스러운 일로 다가온다. 그렇다면 환자와 술자 모두를 만족시키는 제품선택의 기준은 무엇이 될 것인가?

술자의 입장에서는 마찰력이 적어 교정기간이 단축되며 파절저항성이 커 진료 중 재내원으로 추가 진료가 시행되지 않기를 바라며 디본딩이 편해 치아의 손상이 없기를 바랄 것이다. 그리고 세라믹 브라켓은 개당 1~2만원의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는데, 가격대비 성능이 뛰어나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세라믹 브라켓의 특성상 파절되는 현상이 간혹 발생하기 때문에 구매가 편리해야 하며, 강력한 결합력으로 발생하는 디본딩 시의 에나멜 손상 방지를 위해 전용 디본딩 기구가 있거나, 적합하게 디자인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요령이다.

마지막으로 세라믹 브라켓을 선택함에 있어 마찰력의 검토이다. 세라믹 브라켓의 마찰력은 전체적인 제품 성능과 제품 선택에 있어 큰 부분을 차지게 된다. 세라믹 슬롯보다는 금속 슬롯과 실리카 라이너 처리된 제품의 마찰력이 더 낮다는 것은 지금까지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된 내용이다. 여기에 각 업체는 이 마찰력을 줄이는 것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모두 자사의 제품들의 마찰력이 적다며 한 목소리를 내고 있어 단순한 홍보 자료를 가지고 제품선택을 할 수는 없다.
이토록 세라믹 브라켓은 그 종류가 많으며 이것 저것 알아볼 것이 많은데, 그것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는 아직 턱없이 부족한 편이다.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성인교정의 수요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임상가들의 연구와, 각 제조업체들의 지속적인 품질 개선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Virage (㈜가남오스콤)
이 제품은 mechanical lock base로 bonding력의 향상과 de-bonding의 편리함을 제공해 주며, gold 합금의 금속 슬롯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한 제품이다. 본딩시 빛의 산란을 막아주는 디자인과 ligature하기 편리한 구조의 tie-wing을 갖고 있는 제품. 곡선처리로 구강 내에서 환자에게 편안함을 안겨준다.

● INVU (㈜광명데이콤)
브라켓이 지나치게 투명할 경우 오히려 떨어지는 심미성을 고려한 평균적인 치아색을 구현한 브라켓. 부드럽고 깨끗한 표면처리와 파절되지 않는 강한 강도를 지녔다. 적은 마찰력이 장점이며 강한 본딩과 최소한의 cleanup으로 한전한 디본딩를 제공한다.

● CRYSTALINE Ⅴ (㈜광명데이콤)
이 제품은 슬롯 부분을 실리카 처리해 금속슬롯과 비견되는 Super low friction으로 적은 마찰의 sliding을 구현하였다. 부드러운 표면과 둥그스런 디자인으로 환자의 위화감이 감소 되었고 높은 강도와 투명도로 최적의 심미성을 구현하였다.

● Facination Ⅱ (㈜광명데이콤)
특수공정으로 제조되어 높은 표면 마무리를 구현하였다. 치아의 자연치 색상은 브라켓을 통해서 투과하고, 브라켓의 심미성을 높여준다. 생상 변색이 없는 것이 특징. 다결정 알루미나 구조의 결합력과 기능이 뛰어나다.

● Clarity (신원덴탈㈜)
금속 슬롯이 부착되어 마찰력이 매우 적은 브라켓. 하우플라이어를 이용하여 손쉽게 디본딩 할 수 있다. 다결정 알루미나 재질로 충격 흡수에 강하고 치아 색깔과 유사해 장착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베이스에 마이크로 크리스탈 라인 막을 덧 입혀 본딩력이 우수하다.

● Transcend (신원덴탈㈜)
Transcend는 다결정 알루미나 브라켓으로 충격이나 이완작용이 우수하고 removable color code는 포지셔닝에 도움을 준다. Mechanical lock base로 본딩력이 우수하다. 또한 치아 색깔과 유사하여 심미성이 우수한 제품

● Inspire ICE (㈜신흥)
부드러운 표면처리와 라운드한 윤곽처리로 환자의 편안함이 증대된 제품. ‘Ormco'사의 특허받은 ball base 디자인은 디본딩에 필요한 힘을 크게 줄여 주었으며 쉽고 편하게 장치를 게거 가능하게 해준다. 새로운 열처리 기술로 Tie-wing 강도가 높아지고 파절 저항성이 증가했다.

● MISO (㈜에이치티)
국내 최초의 단결정 알루미나 브라켓 제조·수출 업체로서 심미성이 탁월하며 슬림한 디자인은 이물감을 최소화 하는데 도움을 준다. RMM방식의 차별화된 베이스면 가공은 본딩/디본딩을 우수하게 한다. 인체적합성이 높고 슬롯의 곡선 처리로 마찰력이 적은 브라켓 제품.

● SIGNATURE Ⅲ (㈜일산트라드)
㈜일산트라드에서 판매하는 이 브라켓은 아치슬롯에 특수 돌출형태를 만들어 파절 저항성을 높이고 마찰력을 감소시킨 제품이다. 브라켓의 모서리 부분을 round하게 처리하여 환자의 불편함이 적다. Ligation이 편리하고 dovetail 베이스로 디본딩이 용이한 제품.

● LUXI Ⅱ (㈜일산트라드)
18K gold 처리된 금속 슬롯으로 마찰력을 대폭 감소시켰으며, 기존의 브라켓보다 강하고 포지셔닝 정확도가 높아진 제품이다.  브라켓의 모서리 부분을 round하게 처리하여 환자의 불편함이 적다. Ligation이 편리하고 dovetail 베이스로 디본딩이 용이한 제품.

● Aspire Gold (㈜좋은보코)
슬롯을 gold로 처리하여 슬롯의 마찰력이 대폭 감소 되었다. 자연스러운 투명도로 심미적 효과가 크며 낮은 profile로 이물감이 적다. 본딩/디본딩이 간단하며 디본딩시 에나멜 손상이 없는 편이다. 낮은 마찰력은 교정기간 단축에 도움을 준다.

6. 세라믹 브라켓의 전망

(1) 심미적 욕구의 증대
교정치료에 관한 일반인의 인식은 아마도 “비싸다”일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교정치료는 다른 치과진료 분야와 마찬가지로 매우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되는 분야이며, 최소한 1년이상의 긴 시간과 여러 사람들의 노력이 기울어져야 그 효과를 보는 진료 분야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엔 몇몇 병·의원들이 과도한 홍보활동을 펼쳐 그 가격부담이 환자에게 그대로 전가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보험적용이 어려운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미용 산업은 매년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루며 몇 년째 호황을 누리고 있는 산업 분야이다. 하지만 교정치료는 성형수술이나 과도한 다이어트, 값비싼 이·미용품의 사용 과는 달리 사회적 인식이 보다 긍정적으로 자리 잡아 있다. 많은 연예계 지망생들은 교육생 시절 치아교정을 필수로 받으며, 취업 준비생과 결혼을 앞둔 예비 신랑·신부들을 비롯한 일반인들까지 치아 교정, 그중에서도 성인교정 분야의 수요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다른 연령대와는 달리 성인교정의 경우 장치의 심미성은 반드시 고려되어지는 항목으로서 세라믹 브라켓은 그러한 요구의 적절한 선택이 되어지고 있다.

(2) 세라믹 브라켓의 개선
앞서 세라믹 브라켓의 고찰에서 살펴본 것처럼 세라믹 브라켓은 뛰어난 심미성을 지닌 충분히 매력적인 재료이지만 현재까지는 몇 가지의 단점이 극복 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파절성이나 치아의 손상보다도 높은 마찰저항은 비효율적인 치아이동을 진행시켜 단점으로 다가온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이 모든 단점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충분히 사용가능한 기술적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술자의 입장에서는 여러 면에서 효율적인 금속 브라켓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하겠지만, 환자의 심미적인 욕구를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교정치료에서 세라믹 브라켓의 사용은 좋은 선택이 되고 있으며 개선되고 있는 중이다. 치아교정을 통해 더욱 아름다워지고자 하는 많은 환자들을 위해 앞으로도 더 개선되어 차선책이 아닌, 최선책이 될 수 있는 세라믹 브라켓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치과재료학’ 한국치과재료학교수협의회, 군자출판사
‘Dr. Bishara의 치과교정학’ Sanir E, Bishara, 나래출판사
‘심미치과학’ Barry G. Dale·Kenneth W. Aschheim 국제치의학출판사
‘세라믹 브라켓과 교정용 접착제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의 비교연구’, 이주원·유동환·김상철, 대치교정지 1997. 27호
'도재 표면 처리에 따른 세라믹 브라켓의 전단 접착 강도 및 탈락 양상’, 이정남·이철원 대치교정지, 1998. 28호
‘유한요소 분석을 통한 심미적 교정 브라켓의 응력 및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이원유·안주삼·박영철·박명균·손홍범·정시동, 대치교정지 1998. 28호
‘세라믹 브라켓의 종류 및 브라켓 슬롯과 와이어 각도에 따른 마찰 저항 차이’, 최윤정·박영철, 2006. 116호
‘세라믹 브라켓의 특성과 전망’, 유형석, 덴포라인 2006. 63호
‘세라믹 브라켓 사용에 대한 임상적 견해’, 고범연, 덴포라인 2006. 63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