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관충전재(Canal filling materials)의 필수요건
상태바
근관충전재(Canal filling materials)의 필수요건
  • 덴포라인
  • 승인 2010.03.08 17: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근관충전은 통상 크게 2가지 재료로 시행한다. 첫째는 근관의 대부분을 채우는 반 고형 물질인 gutta-percha cone 으로써, 냉장고에 보관,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공기 중에 장기간 노출되면 산화가 일어나 잘 부러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 전에 냉.온수 요법으로 어느 정도 개선할 수는 있으나 새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개 측방가압법 시 사용되고 있는 gutta-percha cone 은 beta 상으로써 그 성분 중 zinc oxide 와 gutta-percha의 조성 비율을 변화시키면 재료의 brittleness, stiffness, 인장강도 및 방사선 투과성의 차이가 나타난다. 이러한 beta 상의 gutta-percha 는 실온에서는 견고하지만, 수축이 일어나기 때문에 충전 시 철저한 가압(> 2kg)이 필요하다.
한편, alpha 상의 gutta-percha 는 beta 상보다 연화 온도가 낮고 유연하며, 점도가 낮아서 근관벽에 대한 밀착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고 흐름성이 좋아 측방관 (lateral canal)이나 isthmus 등 해부학적 변이가 존재하는 부위의 충전 시 유리하며, 식을 때 beta 상보다 수축량이 적어 가열기구를 사용하는 열연화충전법에 적합하다. Gutta-percha cone은 근관 내에 삽입 후 체적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불활성이며, biocompatible 하기 때문에 재료 자체는 치근단조직에 해가 없다(그림 1).

 

 그러나 견고성(rigidity)이 부족하여 좁은 근관에서는 근단부에서 적절한 ‘tug-back’ 감각을 얻기가 어렵고, 근관벽과 부착성이 없어 sealer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며 이러한 공간을 통해 재감염이 쉽게 일어난다(그림 2).
최근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resin 성분이 포함된 gutta-percha cone (Resilon과 resin sealer를 사용함으로써 근관벽과 충전재 사이의 bonding을 통해 monoblock을 얻으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그림 3).
Gutta-percha cone 은 표준화 및 비 표준화 cone 의 형태로 시판되며, 표준화 cone(.02 taper)은 주로 측방가압 시 master cone 으로 사용되지만, 비 표준화 cone은 측방가압 시 accessory cone 으로 사용하거나 열연화충전법의 경우에는 master cone(alpha-상)으로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엔진구동형 니켈-티타늄 파일과 같은 taper(.04 & .06)를 갖는 ‘auto fit’ cone 도 시판되고 있다. 더욱 간편화된 충전이 요구되는 최근의 욕구와 맞물려 최근에는 충전재의 중심에는 플라스틱 코어가 있어 그 표면을 alpha 상의 gutta-percha 가 덮여 있는 carrier-based obturator (ThermaFil, HeroFil) 도 사용되고 있다.

 

 둘째는 근관충전용 시멘트라 불리는 sealer로서 주 역할은 근관충전 시 윤활제 역할을 하거나 gutta-percha cone 과 근관벽 사이 혹은 충전재와 충전재 사이의 빈틈을 메우는 밀폐역할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근관충전용 시멘트(sealer) 는 시간이 지나면서 흡수가 일어나기 때문에 근관 내에는 체적상 거의 변화가 없는 gutta-percha cone의 상대적인 비율이 높도록 충전해야 한다. 따라서 PGCA (gutta-percha-filled canal area) 수치는 근관충전의 질(quality)을 반영하는 주요 평가지표가 될 수 있으며,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측방가압법보다는 열연화충전법이 PGCA 수치가 높아서 좀 더 바람직한 근관충전법으로 추천된다.

참고문헌

1. Trope M and Debelian G. Endodontics manual for the general dentist. Quintessence publishing Co, Ltd, 2005.
2. Borden WG, Wu MK, Wesselink PR. Percentages of gutta-percha-filled canal area observed after increased apical enlargement. J Enod, 200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