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 임상] 디지털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Unilateral Crossbite 치료
상태바
[교정 임상] 디지털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Unilateral Crossbite 치료
  • 박서정
  • 승인 2022.12.02 14: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 산업분야에 걸쳐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치과영역 역시 디지털에 기반한 새로운 임상 패러다임이 대거 형성됐다. 특히, 교정 분야에서의 디지털화는 더욱 빨라져,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술식들이 등장하며 격변의 새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본지는 디지털 교정의 다양한 경험으로 Global Speaker 및 KOL로 활발하게 활동 중인 박서정 트리 Baylor 치과 원장의 증례를 바탕으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교정 패러다임을 소개해보기로 한다.
 

 

편측 반대교합을 가진 환자의 경우 하악의 편위 및 회전으로 인한 안모 및 치성 비대칭이 함께 나타난다. 
또한, 오랜 기간 편측 저작에 익숙해져 있는 경우가 많다. 브라켓 교정으로 치료를 한 경우 치료 중과 직후에는 하악의 편위 및 회전이 개선되지만, 디본딩 후 생긴 구치부의 조기접촉, 개선되지 않은 편측 저작습관 등으로 하악의 전위가 다시 재발될 수 있다. 

가철성 투명 교정 장치로 치료를 했을 경우 치료 과정 동안 환자의 자율적인 저작으로 좀 더 정밀한 교합 조정이 가능하고 치아 이동뿐만 아니라 하악의 이동까지도 함께 계획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에 유리한 점이 있다.

17세 남학생은 13번 치아의 반대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내원하였다. 좌측으로 휘어진 코와 우측으로 편위된 하악, 좌우 높이가 다른 어깨 등이 전형적인 편측 반대교합의 특징을 보여줬다(Fig.1).

구강 내 사진에서는 비대칭인 견치 및 구치 관계로, 우측이 더 심한 2급 관계였다. 또한 상악 전치의 돌출, V자 형태의 상악궁, 하악 전치부의 공간, 상하악 중심선의 불일치, 하악의 Deep COS, 큰 Overjet과 Overbite 등을 나타냈다(Fig.2).

보호자와 환자가 투명교정 치료를 원했기 때문에 구강 내 스캔으로 얻은 디지털 모델을 바탕으로 셋업을 하여 일단 반대교합을 먼저 해소하기 위해 하악 구치부에 Resin turbo를 형성한 다음 어태치먼트를 본딩하고 상악부터 치료를 시작하였다(Fig.3).

약 12주 정도 지났을 때 편측의 반대 교합은 불완전하게나마 해소가 되어, 이때 하악의 Resin turbo를 제거하고 하악에 어태치먼트를 본딩한 다음 상악과 함께 치료를 시작하였다(Fig.4, 5).

이 때 구강 내 사진을 보면, 중심선의 불일치로 나타난 하악의 편위, 불만족스러운 견치 및 구치 관계, 불충분한 #13의 토크, 여전히 과도한 하악의 COS 등 해결해야 할 문제는 많은 상태였다. 게다가 돌출된 상악 전치부를 후방 퇴축시키면서 #21의 근심회전이 나타나버렸다.

상하악 동시 투명 장치를 끼워 상하악 전치의 압하, #43의 Lingual crown torque 부여, #13의 Labial Crown Torque 부여, Slight IPR과 함께 #21의 회전 및 돌출에 대한 치료를 한 지 8주가 지났을 때의 안모와 구강 내 사진이다(Fig.6, 7).

비대칭이었던 입술 라인이 개선되었고 스마일 라인이 훨씬 좋아졌으며, 양측 견치의 토크도 엇비슷해 보인다. 그러나, 우측의 견치와 구치 관계는 여전히 뚜렷한 2급으로 나타나 하악의 편위 및 회전은 여전히 존재하였다. 디지털 시뮬레이션을 할 때 Global Movement를 계획하여 하악의 회전을 유도하고 이 때 생기는 조기접촉 부위를 제거하도록 Dental Movement를 계획하여 치료를 계속 진행하기로 하고, 상하악에 어태치먼트가 본딩된 상태에서 2번째 구강 스캔을 하여 디지털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으로 새로운 투명 교정 장치를 디자인, 제작하였다.

12주 후가 되자 2급 교합 상태였던 우측 견치와 구치는 End-on 상태까지 개선이 되고 있다(Fig.8).

교정 치료 전과 현재를 비교한 사진이다(Fig.9, 10, 11).

상악 전치부의 설측 이동 및 견치의 순측이동과 함께 Arch form이 상당히 개선되었으며, 하악 견치의 적정한 토크가 형성되었다. 뿐만 아니라 양측 견치와 구치 관계도 점차 개선이 되고 있는 중이다. 안모 사진에서도 스마일 라인 및 코와 입술을 포함한 얼굴의 대칭이 훨씬 심미적이 되었다. 이제 남은 기간 동안 치아의 Vertical & Transverse Movement를 이용해 상하악의 Sagittal relationship을 정상화하면서 #21의 남은 회전과 총생을 해결할 계획이다.

3차원 모델을 이용한 디지털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가철성 투명 교정 치료를 했을 때의 장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 3차원 공간에서 Dental Movement와 Mandible Movement를 함께 계획하고, Vertical, Transverse, Sagittal Movement를 동시에 디자인함으로써 각각의 다른 이동들이 어떻게 3차원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를 파악하면 좀 더 적은 치아 이동으로도 원하는 결과를 성취해낼 수 있기 때문에 교정 치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