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의치 치과 기공 과정에 관한 고찰
상태바
총의치 치과 기공 과정에 관한 고찰
  • 승인 2006.05.03 15: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총의치 치과 기공 과정에 관한 고찰
- 모형제작, Denture Base 제작(Ⅳ) -

최석순신구대학 치기공과 교수 (sschoi@shingu-c.ac.kr) / 이성구경빈 치과기공 소장 (goodsong@hananet.com)

지난호에 실린 모형 제작과 Mounting, Core 제작에 이어 이번에는 완성된 모형을 분석하는 과정과 모형 분석 후 Denture Base를 제작하면서 고찰해야 할 내용을 살펴본다.

정밀모형의 제작이 완성(그림 1)되면 모형에 Denture 제작 시 필요한 부분을 모두 재현하였는가를 먼저 확인한 후 모형분석에 들어가게 된다. 모형에 관해서는 모형제작 과정에서 Impression에 관한 질문에 이상이 없다면 정확한 혼수비에 의한 모형제작과 표면의 기포 발생 여부, 너무 약한 부분이 없는가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다시 제작하거나 보강해야한다. 이는 제작된 정교한 모형에 관한 모형 분석 다음에 해야 할 인공치의 배열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다.

모형 분석 과정
먼저 모형의 정중을 결정해야 하는데 이는 인공치의 심미적인 배열 뿐 아니라 균형적인 인공치배열과 교합을 위해 대칭적인 관계 수립을 위함이다(그림 2). 흔히 정중이라함은 Incisive Papilla의 중심부에서 정중구개봉합선을 지나 두 개의 Palatine Foveae의 중앙을 지나는 것을 일컫는다(그림 3). 정중선을 그리고 나면 의치상의 외형선을 기입하는데 치은 순·협 이행부를 포함하고 소대(Frenum)는 피하며, 상악은 Hamura Notch부와 하악은 Retromolar Pad를 덮으며, 상악 후방에는 Hamular Notch부와 Palatine foveae를 연장한 선상으로 외형선을 기입한다. 특히 하악의 경우 Buccal Shelf부를 충분히 덮고 하악 7번부와 Retromolar Pad부에 분포되어 있는 교근(모형의 치은협이행부의 경사가 급격하게 위로 올라가는 부위)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이는 그 후 치조제 정상선을 그을 때 배열할 악궁을 결정해 치아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그림 4, 5).
치조제 정상선에서 Buccal쪽으로 발치와가 보이는데 통상적으로 상악에서는 주로 대구치부위에서 발치가 되면서 Buccal과 Lingual의 흡수도가 약 6 : 4의 비율로 나타나는데 이는 상악 대구치의 치근이 Buccal쪽에 Root가 2개 있어 그 공간이 Lingual보다 크기 때문이다.
또한 하악 치근이 근·원심으로 위치돼 있어 Buccal과 Lingual의 관계가 별로 크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치아가 Lingual쪽으로 약15°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Lingual쪽의 흡수가 좀더 일어난다고 한다. 또 발치한 시간이 지날수록 발치와의 위치는 치조제 정상쪽으로 치우치게 되는데 흡수가 완전히 일어났을때 치조제 정상에서 약 1∼2mm정도에 위치하게 된다. 이 발치와는 추후 인공치배열에 많은 참고가 된다.
그 후, Incisive Papilla의 중앙을 Marking하게 되는데 이는 중절치 위치를 찾기 위한 것으로 Incisive Papilla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약 7∼8mm 되는 곳에 중절치의 절연이 위치한다(그림 6). 또한 첫 번째 구개추벽도 Marking을 해야 하는데 이는 첫 번째 구개추벽 끝에서 약 9mm 떨어진 곳에 견치의 순면이 오기 때문이다(그림 7). 이는 치아배열의 중요한 정보가 되므로 모형분석 시에 철저히 시행하지 않으면 잘못된 의치를 제작할 확률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그림 8, 9)와 같이 모형에 정보를 정확히 인지해야 할 것이다.

Denture Base 제작
 모형 분석이 끝나면 Denture Base 제작을 위한 Rlief를 하게 되는데(그림 10, 11) 그 목적은 교합압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Undercut부위와 치조제의 예리한 부분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Relief 부위는 통상 구개융기, 하악융기, Mylohyoid Line부, 치조골의 예리한 부위, 발치와, Undercut부위와 Flabby Gum 등이며 이때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의치배열이 끝나 Wax Denture를 구강내 적합할 경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Relief가 끝나면 Tray Resin(Nissin, 수입원 조광무역)을 압접하게 되는데, Tray Resin은 될 수 있는 한 모형분석했던 정보를 정확히 볼 수 있도로 약간 투명한 것이 좋다.
상악에서는 두께를 약 1.5∼2mm 정도로 하고 치조제 정상부위를 완전히 제거하는데(그림 12), 이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수직 고경에 따라 치아의 기저면을 삭제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보통 경질 레진치는 그 표면강도가 매우 높아 Curing시 의치상 레진과의 화학적 결합에 문제가 생겨 의치장착 후 탈락의 위험여부가 있으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경질 레진치 제작 시 기저면에 약 2mm의 두께로 아크릴 레진이 붙어 있으므로 치아의 기저면의 삭제를 최소화로 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의치상에 최소의 두께로 강도를 주기 위해 구개면을 Base Plate Wax 한 장으로 균일하게 해주기 위함이다.
하악에서는 Denture Base의 강도를 위해 치조제 부분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얇게 하도록 한다(그림 13).
Tray Resin이 경화되면 Polishing으로 끝내고, 상악 치조제 부분에 Base Plate Wax 한 장을 압접한다(그림 14)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