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치가 결손된 환자의 교정치료
상태바
전치가 결손된 환자의 교정치료
  • 승인 2006.10.09 16: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 일 제
조일제치과의원 원장
fivepeak@hanmail.net

 전치가 결손된 환자의 교정치료

연재 순서
1. 서론
2. 상악 중절치 결손
3. 상악 측절치 결손
4. 하악 전치 결손
5. 결론

치아결손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가능한 치료법에 대한 고려사항과 문제점을 찾아보고 각각의 임상증례를 정리하여 연재하고자 한다. 다양한 결손치 중에서도 전치 결손과 함께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효과적인 교정치료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1. 서론

치아결손을 포함한 부정교합의 교정치료는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교정의사는 치아결손으로 인한 공간을 없애는 방법을 선호하지만 어떤 환자에서는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다른 환자에서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차이는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이며 무엇을 기준으로 진단을 하면 치료 결과를 미리 예측하여 환자가 수용할 수 있고, 술자도 달성할 수 있는 목표를 제시할 수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치아결손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가능한 치료법에 대한 고려사항과 문제점을 찾아보고 각각의 임상증례를 정리하여 연재하고자 한다.

치아결손의 빈도에 관한 Moyers의 연구에 의하면 정상인의 2-7%가 제3대구치 이외의 결손치를 가지며 영구치 중에서 결손이 가장 빈번하게 되는 치아는 제 3대구치이며, 그 다음으로는 하악 제2소구치, 상악 측절치, 상악 제2소구치, 하악 절치 등이다.
치아결손에 대한 국내의 연구에서는 정상아동의 9.75%에서 결손치가 있었다고 보고되었다. 치아결손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가 있고, 환경적인 요소에는 감염, 외상, 방사선 조사 등을 들 수 있다. 결손치를 가진 어린이에 대한 조사에서 그들의 형자자매 또는 부모의 반 이상에서 결손치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어 결손치의 유전적 경향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악 측절치의 결손과 왜소증은 종종 동시에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결손치와 왜소치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결손치는 소년보다 소녀에서 더욱 자주 발생한다는 보고에 따르면 성별간의 빈도 차이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결손치 중에서도 전치 결손과 함께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효과적인 교정치료에 대하여 4회에 걸쳐서 연재를 하고자 한다.

가. 결손된 전치의 치료법

전치가 결손된 환자에서도 심미성, 치주조직의 건강, 교합기능, 측두하악관절 질환의 개선이라는 교정치료의 목적에 부합되는 최선의 치료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치아가 결손된 환자의 치료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 번째는 결손치를 수복할 공간을 교정적인 방법으로 확보한 후에 치아 결손을 수복해 주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인접치아들을 이동하여  결손치의 공간을 교정적으로 없애는 방법이다. 치아결손 증례에 대한 치료에 관하여 교정의사와 보철의사 간에는 아직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보철의사들은 상악 전치가 결손되었을 때에 공간을 폐쇄하게 되면 상악 견치가 하악 측절치와 대합하게 되어 견치 유도 교합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상악 견치를 측절치 위치로 근심이동하는 것에 대하여 반대한다.

또한 보철의사들은 견치는 치열궁 내의 위치, 치근의 길이와 각도 때문에 성격, 힘, 미를 나타내는 구각부의 융기로서 중요한 안면의 구조물로 작용한다고 주장하며 견치의 역할을 강조한다. 그러나 아무리 잘 만들어진 보철물도 치태의 축적을 일으킬 수밖에 없으므로 가능하면 보철물의 장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견치를 측절치 위치로 이동하고 측절치 형태로 바꾸어준 환자를 계속적으로 관찰한 연구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변화가 거의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실된 전치를 보철물로 대체하는 대신에 공간을 폐쇄하고 견치를 Reshaping함으로써 장기적으로 더 건강한 치주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악 전치부의 치아들의 배열이나 치조골의 부피, 형태가 심미성을 크게 좌우하는데, 견치를 측절치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는 치열궁 형태가 좁아지면서 자연스러운 만곡이 없어지고 치은구조도 비정상적이 될 수밖에 없으므로 견치가 제자리에 있는 것보다는 심미성이 떨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심미성과 기능성, 효율성 등을 함께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나. 고려 사항

어떤 방법을 선택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들은 아래와 같다.
 ● 골격 형태
 ● 교합 상태
 ● 치아크기/악궁길이의 불일치
 ● 인접치아의 형태와 색깔
 ● 결손치아의 개수
 ● 공간의 상태
 ● 나이

특히 성장 중인 환자들에서는 좀 더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성장 중인 환자들에서 공간을 확보할 경우에는 타과와의 협진이 필요하고 안면성장이 끝난 뒤 Implant를 식립해야 하고, Implant를 식립할 부위의 치조골 발육을 계속 관찰해야 한다. 성장 중인 환자들에서 공간을 폐쇄할 경우에는 치조골의 높이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지만 치료의 결과가 안정적이어야 한다. 교정적으로 결손치 공간을 폐쇄할 경우에는 치료의 복잡성, 공간이 다시 벌어질 위험성, 이동할 치아의 치근에 미치는 교합력의 증가, 결과의 심미성 등을 특별하게 검토해야 한다.

다. Reshaping

교정적인 방법으로 결손치의 공간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치아의 형태를 바꾸어야 한다.
 ● Grinding of incisal or cuspal edge
 ● Grinding of mesial and distal sides
 ● Lingual reduction to compensate for greater thickness of canine
 ● Resin build-up of the mesial and distal corners
 ● Restoration

(Fig. 1) Resin build-up of the mesial and distal corners (AJO, Vol.123, No.6)

(Fig. 2) Restoration (AJO, Vol.123, No.6)
  
라. Tooth size discrepancy

 결손치가 있는 경우에 치아크기의 불일치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 Interproximal stripping(전방부에서 2-3mm 정도 공간획득)
● 한 개의 하악 절치의 발거
● 상악 절치의 Artistic positioning(근심경사)

(Fig. 3) Lower 3-incisor case: to-reduce the width of upper anterior teeth

마. Reproximation

Reproximation란 치아의 인접면을 Stripping하여 치아의 크기를 줄이고, 인접면의 모양을 바꾸어 주는 것이다.  Bolton 부조화를 감소시키고,  수직과 수평 피개 관계를 개선하고, 심미적 목적을 위한 치아형태의 재설계를 위해서 시행할 수 있다. 하악 전치가 1개 결손된 경우에는 상악 전치 개개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악 전치에 Stripping을 한다. 삭제하는 방법은 Abrasive strip을 손으로 잡고 하거나 Motor-driven abrasive strip을 사용하는 것인데, 삭제량이 적은 경우에는 제일 좋은 방법이다. Hand piece에 장착하는 Abrasive disc를 사용하는 방법은 삭제하기는 쉽지만 잇몸을 자르거나 인접면의 형태가 부적절하게 될 수가 있다.
인접면을 삭제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은데, 먼저 치아를 배열해야 한다. Stripping을 하기 전에 치아를 움직여서 Contact point가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 다음으로 삭제할 치아들의 Contact area가 이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후방에 있는 치아부터 Contact point를 Stripping한다.

바. 교정적으로 공간을 확보한 후에 결손치를 수복해야 한다.

결손 전치를 가진 환자에서 공간을 교정적으로 확보하는 치료계획이 결정되었을 경우에는 치료과정에 대하여 환자와 보호자 모두에게 철저하게 설명해야 한다. 교정치료가 전체 치료과정에서 단지 시작이라는 것을 인식시켜야 한다. 교정치료가 완료된 후에 교정장치를 제거하고 결손치에 해당하는 가공치가 부착된 보정기를 장착하거나 최종적인 보철 치료를 하도록 한다. 보철 치료의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고 치과의사의 선호도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겠지만 대표적인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 소구치의 자가이식(B.U. Zachrisson)
 ● Implant의 식립
 ● 3-unit fixed bridge

(Fig. 4) Premolar autotransplantation (B.U. Zachrisson)

(Fig. 5) Implant (B.U. Zachrisson)

(Fig. 6) Maryland bridge

자가이식한 치아와 Implant를 비교하면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다.
1) 자가이식한 치아는 치조골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생물학적 수복물이라고 할 수 있고, Implant는 인공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2) 자가이식한 치아는 다른 치아들처럼 교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Implant에서는 골유착이 일어난 후에는 이동할 수 없다.
3) 자가이식한 치아는 지속적인 안면 성장과 다른 치아들의 수직변화에 조화를 이룰 수 있지만 Implant는 위치의 변화가 없어서 성장기의 치조골이나 인접치아의 높이와 차이가 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자가이식의 어려움이나 성공률의 문제점 때문에 Implant가 실제적으로 더 선호되고 앞으로도 더욱 그렇게 될 전망이다.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발문]
전치가 결손된 환자에서도 심미성, 치주조직의 건강, 교합기능, 측두하악관절 질환의 개선이라는 교정치료의 목적에 부합되는 최선의 치료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치아가 결손된 환자의 치료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약력
● 조일제 치과의원 원장
● 치의학 박사
●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 부산대학교병원 교정과 수련
●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교정과 외래교수
● 동아대학교 치과학교실 외래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