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악 중절치 결손 환자의 교정치료
상태바
상악 중절치 결손 환자의 교정치료
  • 승인 2006.11.06 16: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 일 제
조일제치과의원 원장
fivepeak@hanmail.net

상악 중절치 결손 환자의 교정치료

 

연재 순서
1. 서론
2. 상악 중절치 결손
3. 상악 측절치 결손
4. 하악 전치 결손
5. 결론

치아결손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가능한 치료법에 대한 고려사항과 문제점을 찾아보고 각각의 임상증례를 정리하여 연재하고자 한다. 이번호에서는 상악 중절치 결손에 대한 교정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상악 중절치 결손

7세에서 10세 사이의 아이들에서 사고에 의한 손상으로 상악 중절치의 결손이 잘 일어난다. 어린이가 상악 중절치 결손과 부정교합을 함께 가지고 있다면 심미적인 것과 장기적인 치아건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 서론에서 살펴 본대로 치료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결손치를 수복할 공간을 교정적인 방법으로 확보한 후에 치아 결손을 수복해 주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인접치아들을 이동하여  결손치의 공간을 교정적으로 없애는 방법이다. 어떤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적절한가를 결정해야하고, 결정된 치료계획에 따른 실제적인 치료의 순서와 그에 따른 문제점들에 대하여 미리 알아 두어야 할 것이다.
결손치의 공간을 확보할 것인지 공간을 없앨 것인지를 결정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결손 된 치아의 개수
  · 교합
  · 공간 상태(Crowding/spacing)
  · 나이
  · 얼굴 모양
  · Growth pattern
  · 치아 형태
   · 교정치료의 필요성
   ·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그리고, 수립한 치료계획에 대하여 아래의 사항에 대하여 추가로 검토해 보아야 한다.
  · 다른 방법의 치료와 비교
  · 기대하는 결과의 성취 가능성
  · Cost/risk/benefit의 평가
  · 치료방법에 대한 환자의 이해와 요구
 
 가. 공간 폐쇄(Space closure)
 
 상악 중절치가 결손되었을 때에 결손측의 치아들을 정중선 쪽으로 전방 이동하여 교정적으로 공간을 없애는 것이다. 이것은 상악 중절치 결손 증례에서 시행할 수 있는 다양한 치료법 중의 하나인데 치주적인 관점에서 양호하다고 보고되었다. Zachrisson은 공간 폐쇄의 방법으로 치료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 Professional skills
  · Critical selection of patients
  · Attention to detail during treatment

 그리고, 공간 폐쇄의 방법으로 치료하기 전에 미리 조사해보아야 하는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 Treatment complexity
  · Risk for space reopening
  · Increased load on the root of the lateral incisor
  · Quality of the esthetic result

 또한, 공간 폐쇄의 방법으로 결정하기 전에 다음의 사항들도 관찰해야 한다.
  · 부정교합의 종류
  · 측절치의 치관 폭과 치근 길이
  · 견치 치관의 형태와 색깔
일반적으로 공간 폐쇄의 방법으로 치료를 하는 경우에는 측절치가 중절치의 자리로, 견치가 측절치의 자리로, 제일소구치가 견치의 자리로 이동해야 하므로 견치와 소구치에 대한 검사도 필요하다.
상악 중절치 결손 증례를 공간 폐쇄의 방법으로 치료를 했을 때에 이루어져야 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 Mesiodistal positioning of mesially moved lateral incisors(Fig.1).
  · Axial inclination of lateral and central incisors(Fig.1).
  · Recontouring of the canine.
  · Clinical crown height of crowned lateral incisors.

 (Fig.1) Correct axial inclination and mesiodistal position.

측절치를 근심으로 이동했을 때(Mesialization)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새로운 치조골이 형성된다.
  · 연조직의 형태가 유지된다.
  · 부정교합과 치아의 비정상 위치가 동시에 고쳐진다.
상악 중절치 결손 환자 50명(30명은 공간을 폐쇄하고, 20명은 공간을 확보함)에 대한 Robertsson과 Mohlin의 연구에서 공간 폐쇄한 환자가 치료 결과에 더 만족하고, 턱관절증의 발생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반면에 수복치료를 받은 환자의 치주 건강이 나빠졌다고 보고하였다.

나. 공간 확보(Space opening)

 결손치의 공간을 폐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장점도 있지만, 피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측절치로써 중절치의 역할을, 견치로써 측절치의 역할을, 소구치로써 견치의 역할을 하도록 하므로 대합치들과 긴밀한 교합을 얻을 수 없고, 나아가 견치가 유도하는 측방교합을 만들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Canine eminence의 위치 변화로 말미암아 치조골의 비심미적 형태가 나타난다. 공간을 폐쇄함으로써 Arch perimeter가 작아지고 Arch width가 좁아져서 웃을 때의 모습(Smile line)이 어색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증례에서 결손치의 공간을 확보하여 수복치료를 하는 것도 올바른 치료법의 하나이다. 대체로 교정의사는 상악 중절치가 결손된 증례를 진단하고 치료계획을 세울 때에 먼저 공간 폐쇄가 가능한지를 먼저 검토하게 된다. 공간폐쇄가 가능하다는 기준은 한마디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지만 구강내의 상태를 관찰하는 것에 더하여 골격구조(Skeletal pattern)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Kim's Analysis에 의한 ODI(Overbite Depth Indicator)와 APDI(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와 CF(Combination Factor)를 근거로 판단하면 치아 이동의 용이성을 쉽게 예측할 수 있는데, ODI와 CF가 작으면 공간 폐쇄가 쉽게 되고 ODI와 CF가 크면 공간 폐쇄가 잘 안된다고 알려져 있다(Fig.2).

그리고 하악평면각의 크기가 작으면 공간폐쇄가 어렵다는 것도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치료 전의 상악 전치의 전방경사도나 입술의 위치, 환자의 요구 등도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이것은 발치와 비발치 치료법을 선택할 때의 기준과도 일치한다고 하면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Fig.2) Kim's Analysis

다. 치료방법 선택 기준

상악 중절치 결손 증례의 치료 방법에 대한 선택의 기준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공간 폐쇄
     ClassⅠ공간부족의 경우
     ClassⅡ의 경우
  - 공간 확보
      ClassⅢ의 경우
      ClassⅠ증례에서 공간부족이 없거나 공간이 있는 경우
치료법을 선택할 때 ClassⅠ space deficient cases와 ClassⅡ cases에서는 공간을 없애는 치료법을 먼저 생각하고 ClassⅢ와 ClassⅠcase with no space deficiency에서는 공간을 확보하는 치료법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라. 임상 증례

Case 1 
  이름 : H. Chung
  나이 : 23y 2m
  성별 : 여성
  주소 : 상악 전치의 전돌
              
                                                     

    

                                                    

  (Fig.3) 치료전 구강내 사진


  (Fig.4) 치료전 Cephalogram 계측치

-문제목록
  상악 좌측 중절치의 결손, 상악과 하악 전치의 전돌, 상악치열 정중선의 좌측 변위  
 -골격 구조
  ODI/APDI/CF : 78.2/78.6/156.8
  상악골 전상방 회전
  Maxillary overgrowth
 

-치료계획
  골격구조를 볼 때는 Deep overbite의 경향이 있어서 공간 확보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결손치(#21)의 공간이 모두 상실되었고  상악 전치의 순측 경사가 심하고 하악 치열의 Crowding도 관찰되어서 3개 소구치(#14, #35, #45)를 발치하고 상악과 하악 전치의 후방이동을 도모하기로 하였다. 이와 함께 #22를 #21의 대용, #23을 #22의 대용, #24를 #23의 대용으로 하기로 했다. 

-치료경과
1) #14,#35.#45 발치하였다.
2) 전치부 Overbite가 깊어서 상악 Anterior bite plate를 장착하고 하악을 먼저 Leveling하였다.
3) 하악을 Leveling한 후에 Closed coil spring을 이용하여  #34, #44를 후방이동 하였다.
4) 상악을 Leveling한 후에 Closed coil spring을 이용하여 #13을 후방이동 하였다.
5) #31, 32, 33, 41, 42, 43을 Shoe-hook과 Elastics를 이용하여 후방이동 하였다.
6) #11. 12을 Combination loop을 이용하여 후방이동 하였다.
7) 상악의 발치 공간을 폐쇄한 후에, 정중선을 맞추기 위하여 Microscrew를 이용하여 상악 전체를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했다.
8) 상악에 MEAW를, 하악에 Stabilization arch를 장착하고 Class II elastics를 걸었다.
9) 상악과 ,하악에 함께 MEAW를 장착하고 ClassⅡ elastics를 걸었다.
10) Debonding
  

  

  

  

  (Fig.5) 치료중 구강내 사진

-치료결과
상악전치의 전돌과 구순 돌출과 하악의 Crowding이 개선되었다. 상악의 우측 구치부의 후방이동이 부족하여 아직도 정중선 불일치가 있고 우측견치, 대구치는 Ⅱ급 관계이고, 심미성 증진을 위하여 #22의 보철치료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6-16-26-36-46-5

                                                             

  

                                                  

         (Fig.6) 치료후 구강내 사진

 (Fig.7) 치료후 Cephalogram 계측치          (Fig.8) Superimposition

Case 2  
  이름 : S. Oh
  나이 : 15y 2m
  성별 : 여성
  주소 : 앞니로 씹을 수가 없다

                                                 

  

                                                  

    (Fig.9) 치료전 구강내 사진

 

  (Fig.10) 치료전 Cephalogram 계측치

-문제목록
상악 우측 중절치의 결손, 전치부 개방교합, Tongue tie

-골격 구조
 ODI/APDI/CF ; 65.0/78.3/143.3
 Maxillary overgrowth
 Mandibular undergrowth

-치료계획
전치와 입술이 전돌되어 있고 골격구조도 Openbite의 경향이 있어서 소구치 3개를 발치하고 공간폐쇄를 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결손치(#11)의 공간이 아직도 남아있고 다른 치아들의 Crowding도 거의 없어서 일단 결손치의 공간을 확보하고 전치부 개방교합을 개선하는 것을 주목표로 삼았다. 일단 비발치 치료를 하면서 결손치의 공간을 확보한 후에 3-unit bridge로써 결손치를 수복하기로 하였다.

-치료경과
1) 상악과 하악 치아에 Bracket을 붙이고 Leveling을 하였다.
2) 상악을 Leveling한 후에 Open coil spring을 이용하여 #11의 공간을 확보하였다.
3) 상악과 하악에 모두 MEAW를 장착하고 Short ClassⅡ elastics과 Anterior vertical elastics를 걸었다.
4) Debonding(Retainer에 Resin tooth를 부착)
5) 결손치 부위(#11)를 Maryland bridge로 수복함

  

  

           (Fig.11) 치료중의 구강내 사진

-치료결과
결손치의 공간을 확보한 후에 보철을 하였고 전치부 개방교합을 없앴고 상악 견치의 위치를 개선하였다. 비발치 치료를 하였기 때문에 상, 하악 전치가 다소 돌출되었고, 구순돌출도 더욱 심해진 것을 관찰할 수 있다.

                                                 

  

                                                  

                 (Fig.12) 치료후 구강내 사진

 

 

(Fig.13) 치료후 Cephalogram 계측치                 (Fig.14) Superimposition

  

                       (Fig.15) 보정중 구강내 사진

 

                      (Fig.16) 결손치의 수복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발문1
상악전치의 전돌과 구순 돌출과 하악의 Crowding이 개선되었다. 상악의 우측 구치부의 후방이동이 부족하여 아직도 정중선 불일치가 있고 우측견치, 대구치는 Ⅱ급 관계이고, 심미성 증진을 위하여 #22의 보철치료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발문2
결손치의 공간을 확보한 후에 보철하였고 전치부 개방교합을 없앴고 상악 견치의 위치를 개선하였다. 비발치 치료를 하였기 때문에 상, 하악 전치가 다소 돌출되었고, 구순돌출도 더욱 심해진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